안동대학교 기획처 전략평가본부
IR센터
IR center is a research center that is jointly funded by the Andong national university
2019 데이터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결과보고회 개최 안내
2019 데이터통합관리 시스템 구축(용역) 결과보고회 개최 안내2019학년도 IR센터 데이터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용역이 완료됨에 따라 다음과 같이 학내 구성원을 대상으로 결과보고회를 개최하고자 하오니 많은 관심과 참석을 부탁드립니다.- 일시: 추후 안내- 장소: 대회의실(대학본부 3층)- 내용: 2019 데이터통합관리 시스템 구축완료에 따른 결과보고- 참여대상: 부서별 담당자 및 팀장, 부서장,학과 조교 및 교원등- 문의: 기획과 이선엽(내선, 7097)감사합니다.
2019학년도 핵심역량 기반 교과/비교과 교육과정 성과 분석
2019학년도 핵심역량 기반 교과/비교과 교육과정 성과 분석<주요내용> 가. 2019학년도 ANU 핵심역량 기반 교과(교양)/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현황 1) 8대 핵심역량별 교과/비교과 개설 및 참여실적 2) 최근 3년간 비교과 운영실적 비교 3) 핵심역량 중요도와 운영실적 비교 나. 교육성과 및 만족도 변화 1) 비교과 교육과정 참가자의 핵심역량 변화 2) 재학생/졸업생 핵심역량 인지도 및 만족도 변화 3) 졸업예정자가 인식하는 대학교육을 통한 능력 변화 4) 학생 관련 주요지표 변화
2020-06-29
2020 ANU 핵심역량 진단검사 분석 결과 및 개선 의견 안내
대학 성과관리와 교육 질 제고를 위하여 실시한 2020학년도 재학생의 ANU 핵심역량 진단검사의 분석 결과 및 개선 의견을 안내드립니다. -분석방법: ANU핵심역량 진단 및 응답자 특성별(성별, 학년, 단과대학) 평균값 비교-주요내용: 성별, 학년, 단과대학별 우선적 함양 및 교육 확대를 위한 개선 시사점 도출
2020-06-08
2020 ANU 핵심역량 중요도 설문조사 결과 분석
대학 성과관리 및 교육 제고의 일환으로 ANU 핵심역량 중요도 설문조사 분석 결과를 안내합니다. -주요내용: 교육수요자가 공통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ANU 핵심역량은 인성, 실무, 전문, 창의, 자기주도, 소통, 창의로 해당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 확대 운영 고려
2019학년도 학생 역량 진단을 통한 교육성과 분석 및 개선 방안
2019학년도 학생 역량 진단을 통한 교육성과 분석 및 개선 방안<요약>■ 우선적 함양이 필요한 ANU 핵심역량 - 하위권 학생이 참여할 수 있는 난이도 '중하' 수준의 글로컬(글로벌능력, 공동체시민성) 지원 프로그램 확대 시행 검토 - 인문 계열 대상 실무(지적도구활용, 진로설계), 창의(문제발견능력, 창의적 문제해결), 소통(정보이해 및 표현능력, 협력) 역량 지원 강화 필요 - 자연 계열 대상 융합(경험개방성, 혁신적 사고), 소통(정보이해 및 표현능력, 협력) 역량 지원 강화 필요■ 사회 요구 반영과 직업(기초)역량 함양을 위한 역량 강화 - 의사소통 역량이 가장 미흡하므로, 의사소통(적극적 경청과 이해, 효과적인 의사전달 능력, 토론과 조정능력) 수행능력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 확대 필요 - 특히, 효과적 의사전달(말하기) 능력 함양을 위한 최우선 지원■ 체계적이고 실제적인 분석과 학생지원을 위한 진단검사 참여 활성화 방안 마련 필요■ 학생 역량 통합관리 및 학생지원 체계 구축을 위한 시스템 고도화
2020-06-03
2021학년도 주요업무 보고 관련 설문조사 참고자료
2021학년도 주요업무 보고 관련 설문조사 참고자료1. 교육만족도 조사(재학생, 졸업생, 교원, 산업체, 지자체)2. 신입생 실태조사3. 졸업예정자 의견조사4. 학부교육 실태조사(K-NSSE)5. 캠퍼스 학습환경 진단(UEES)
2021-01-14
2019 캠퍼스 학습환경진단(UEES) 결과 안내
대학교육 성과 관리 및 질 제고를 위하여 '2019 캠퍼스 학습환경진단(UEES)' 결과 기초자료를 바탕으로 캠퍼스 학습환경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안내드립니다. - 조사대상: 전체 교직원 - 조사기간: 2019.10.24.(목) ~ 12. 6.(금) - 조사방법: 웹기반 설문조사 - 참여인원: 149명 - 조사결과 분석 및 제언: [붙임2] 참조
2019 학부교육 실태조사(K-NSSE) 결과 안내
대학 교육 성과 관리 및 질 제고를 위하여 '2019 학부교육 실태조사(K-NSSE) 기초자료를 활용하여 응답자 특성별 평균차 분석 등 학부교육 및 학생지원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안내드립니다. - 조사대상: 학부 재학생 - 조사기간: 2019.10.24.(목) ~ 12. 6.(금) - 조사방법 및 참여인원: 웹기반 설문조사, 185명 - 조사결과 분석 및 제언: [붙임 2] 참조
2019 교육만족도 및 설문 결과에 따른 개선방안 수합
2019학년도 교육만족도 및 설문조사 결과에 따른 부서별 개선방안 수합 결과를 안내드립니다.
2018 교육수요자 만족도 및 설문조사 결과에 따른 환류 실적 및 개선 계획 종합
2018학년도 교육수요자 만족도 및 설문조사 결과에 따른 2019학년도 부서별 환류 실적 및 개선 계획을 종합하여 안내드립니다.
2019 전국 국립대학 재학생 인식조사 결과보고서
2019 전국 국립대학 재학생 인식조사< 목차 >I. 조사 개요1. 조사 특성2. 조사 설계3. 조사 문항4. 응답자 특성II. 조사 결과1. 국립대 선택 이유와 수준2. 국립대의 수도권 대학 대비 역량 수준 평가3. 학문과 취업을 위한 역량4. 대학의 교육 인프라5. 국립대와 지역기업, 지방지자체와의 협력6. 4차 산업혁명과 대학의 교육현황 인식III. 결과 요약IV. 정책적 함의V. 부록: 방통대 응답자를 포함한 통계표
2020-01-10